아래 일부 기능에 대해서는 코드를 입력하기 전에 발신음을 가져와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대기하고자 하는 통화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, 통화를 보류로 지정하고 발신음을 찾은 후 *68번을 입력합니다. 그 후 통화를 대기시킬 내선 번호를 입력하거나 자신의 내선으로 통화를 대기시킬 번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.
아래 코드는 Cisco Webex Meetings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지 않았습니다. Webex Meetings에서 사용할 수 있는 DTMF 키에 대해서는 개인 룸 미팅에서 DTMF 명령어 사용을 참조하십시오. |
코드 |
기능 |
메모 |
||
---|---|---|---|---|
*11 |
통화 당겨 발신 |
|||
*31 |
발신자 ID 차단 |
|||
*32 |
발신자 ID 차단 해제 |
|||
*33 |
다른 사용자의 통화를 당겨 받기 |
*33번을 입력한 후 당겨 받고자 하는 통화의 사용자에 대한 내선 번호를 누릅니다. |
||
*48 |
녹화 일시 정지 |
|||
*49 |
녹화 재시작 |
|||
*50 |
말하려면 누르기 |
다른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그룹 간에 인터콤과 같은 기능이 통신할 수 있도록 말하려면 누르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*50번을 입력한 후 사용자의 내선 번호를 누릅니다. 전화기가 연결 끊김 상태로 지정되고 인터콤과 같은 통화가 실행됩니다.
|
||
*55 |
통화를 보이스메일로 전송 |
동일한 그룹에 있는 경우, 통화를 보이스메일이나 다른 사용자의 보이스메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통화를 다른 사용자의 보이스메일로 전송하려면 전송 소프트 키를 누른 후 *55번을 입력하고 사용자의 내선 번호를 누릅니다. |
||
*58 |
그룹 통화 대기 |
*58번을 입력하고 발신음을 찾은 후 그룹 통화 대기에 대한 번호를 입력합니다.
|
||
*66 |
마지막 번호 다시 걸기 |
|||
*68 |
통화 대기 |
*68번을 입력하고 통화를 대기시킬 내선 번호를 누르거나 자신의 내선으로 통화를 대기시킬 번호를 누를 수 있습니다. |
||
*69 |
마지막 통화로 돌아가기 |
|||
*72 |
항상 통화 착신 전환 활성화 |
*72번을 입력하고 통화를 착신 전환하고자 하는 전화 번호를 누른 후 우물정자(#)를 누릅니다. |
||
*73 |
항상 통화 착신 전환 비활성화 |
|||
*78 |
방해하지 마시오 활성화 |
|||
*79 |
방해하지 마시오 비활성화 |
|||
*88 |
통화 검색 |
*88번을 입력한 후 통화를 대기시킨 내선 번호를 누릅니다. 통화가 자신의 내선 번호에 대기된 경우 우물정자(#)를 누릅니다. |
||
*97 |
디렉트된 통화 당겨 받기 |
*97번을 입력한 후 당겨 받고자 하는 통화의 사용자에 대한 내선 번호를 누릅니다. |
||
*98 |
그룹 통화 당겨 받기 |
|||
*99 |
음성 메시지 대기 표시기 지우기 |